본문 바로가기

NCP

(2)
[NCP] NCP로 API 개발 (2) 포트 포워딩 ACG설정 이후에, 포트 포워딩을 설정해줘야한다. 'Server'를 클릭한 후에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을 클릭해서 비밀번호를 확인해줘야한다. 여기서 확인한 비밀번호는 나중에 putty나 ssh접속해서 비밀번호 재설정시 필요하기 때문에 따로 노트해둔다. 비밀번호를 따로 메모해두었다면,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탭 왼쪽에 있는 '포트 포워딩 설정' 탭을 클릭한다. 1. '서버 이름'은 본인 서버 이름으로 설정되어 있는 항목을 클릭해준다. 2. 외부포트는 ACG의 '메모'칸에 'ssh 접근용 외부포트'로 입력해두었던 포트번호를 입력해준다. 3. 포트번호는 본인이 하고 싶은 번호를 입력하면 되며 이후에 '포트포워딩'에 설정되어 있는 외부 포트와 ACG에 설정되어 있는 SS..
[NCP] NCP로 API 개발 (1) ACG ACG는 방화벽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무슨 IP를 접근 가능하게 할지, 몇 번 포트로 접근시킬지를 설정하는 곳이다. 우선 좌측 'Server' 탭 맨 아래에 'ACG'가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이후에 새로운 'ACG 생성'버튼을 클릭하여 생성된 ACG의 체크박스를 클릭 후, 'ACG 설정'을 클릭해준다. HTTP와 HTTPS를 서비스 할 경우에는 접근 소스를 '0.0.0.0/0', 허용 포트 '443(HTTPS용)'과 '80(HTTP용)'으로 설정하여 추가해준다. 본인은 MariaDB도 사용할 계획이라 접근 소스에 공인 IP를 넣어줬고, 허용포트에는 '3306'을 설정해서 저장했다. 내가 설정한 ACG은 아래와 같다. 프로토콜 접근 소스 허용포트 메모 TCP 내 노트북 IP 3306 Maria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