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
[NCP] NCP로 API 개발 (1) ACG ACG는 방화벽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무슨 IP를 접근 가능하게 할지, 몇 번 포트로 접근시킬지를 설정하는 곳이다. 우선 좌측 'Server' 탭 맨 아래에 'ACG'가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이후에 새로운 'ACG 생성'버튼을 클릭하여 생성된 ACG의 체크박스를 클릭 후, 'ACG 설정'을 클릭해준다. HTTP와 HTTPS를 서비스 할 경우에는 접근 소스를 '0.0.0.0/0', 허용 포트 '443(HTTPS용)'과 '80(HTTP용)'으로 설정하여 추가해준다. 본인은 MariaDB도 사용할 계획이라 접근 소스에 공인 IP를 넣어줬고, 허용포트에는 '3306'을 설정해서 저장했다. 내가 설정한 ACG은 아래와 같다. 프로토콜 접근 소스 허용포트 메모 TCP 내 노트북 IP 3306 MariaDB,..
[Git] .gitignore ? Github을 사용하다보면 환경변수 파일 ( .env) 등 Key값이 담겨 있는 파일이라던지 민감한 내용을 업로드하고 싶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gitignore파일을 생성하면 된다. 우선 vscode에 들어가서 .gitignore파일을 생성해준다. 그 다음엔, .gitignore 파일에 들어가서, 올리고 싶지 않은 폴더나 파일 명을 작성해준다. 나는 .env파일을 올리고 싶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다. 만약 특정 폴더 내의 특정 파일을 숨기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커밋할 때에는 저절로 gitignore에 작성된 파일을 제외하고 커밋되니 안심하고 해도 될 듯 싶다.
[NCP] DNS 연동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콘솔 > 서비스 > Global DNS 2. Global DNS에 '+도메인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이름'란에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한다. 3. 카페24(도메인 구입처)에서 네임서버를 변경하는 곳에 GlobalDNS -> 레코드 타입 'NS' 칸 옆에 기입되어 있는 네임서버 2개를 입력해준다. 4.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후 '레코드 명' = 'www' / 'type' = 'A' / '레코드 값' = 공인 IP를 입력하고 추가해준다.